Figma - 3. Outline, Flatten, Boolean Operation(path finder)
·
PM/S.C.C - Design
1. Outline 기능 : 선(stroke)을 면(fill)으로 만든다. 사용하는 이유 : 선을 면으로 만들면 1) 선에선 불가능하지만, 면에선 가능한 디자인들을 적용할 수 있다.2) 선 두께가 변하면, 도형의 모양이 변하는 경우 선을 면으로 바꿔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다.3) 일부 그래픽 프로그램이나 출력 형식에서 면은 지원하지만 선은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2. Flatten 기능 : 도형이 회전하거나 객체의 경계로 다른 작업을 하기 어려울 때 경계를 새로 만들어준다. 다음과 같다.   3. Boolean Operation(패스파인더) 두 벡터 도형이 겹쳐있을 때, 집합처럼 다뤄 겹치는 부분과 겹치지 않는 부분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Figma - 2. Path
·
PM/S.C.C - Design
1. Path란?Path는 벡터 도형의 모양을 정의하는 개념. 그렇다면 벡터 도형이란? 벡터 도형(Vector Graphic)은 수학적 좌표와 수식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도형 -> Path로 벡터 도형을 만든다고 생각하면 된다. 2. Path의 주요 구성 요소Anchor Point Path를 정의하는 주요 지점.직선 경로의 끝점이거나 곡선 경로에서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점.Path Segment 두 앵커 포인트 사이의 선분.직선 세그먼트와 곡선 세그먼트로 나뉨.Handle 곡선을 조정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로, 곡선의 각도와 길이를 제어.Bezier 곡선에서 곡선의 형태를 조작하는 데 중요. -> 이 세 개로 벡터 도형들을 만듬. 3. 벡터 도형의 구성 요소Anchor Point 도형을 구성하는 주요 좌표...
Figma - 1. Constraint, Resizing
·
PM/S.C.C - Design
1. 어떻게 도형 안에 딱 떨어지는 다른 도형을 만들 수 있을까? 1) 정렬2) shift + alt(window) 키를 이용한다. 원과 삼각형을 만든 뒤 삼각형이 대략 내부에 오도록 위치시킨다.그 후, 두 도형을 드래그를 통해 한 번에 붙잡고 정렬을 한다.삼각형만 클릭 한 뒤, shift + alt 키를 누른 채로 크기 조절을 한다. shift + alt 키는 도형의 중심을 움직이지 않은 채 크기만 변경할 수 있게 하는 단축키이다.   2. Frame + Constraint  // Frame + Auto Layout + Resizing 프레임 내부에 프레임이 존재할 때,  Frame + Constraint 로 조절하거나  Frame + Auto Layout 으로 조절하거나 둘 중 하나로 조절 할 수 있..
HardConcent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