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에서 1 만들기
·
PM/S.C.C - Essence
뭔가 0에서 1을 만드는 것에 더 흥미가 가는 듯하다. 상상과 이상을 현재로 당겨 오는 것. 프로덕트가 catalyst처럼 작용하여 어떻게든 그 문턱을 낮춰서  사람들이 원하던 것이 현실에 펼쳐지게 할 것.
1-Pager Front Layer 훈련) 배달의 민족 함께주문
·
PM/S.C.C - Essence
1. 현상 파악 많은 양의 배달이 차지하는 빈도. 즉, 여러 사람이 먹을 양의 음식이 주문되는 정도. -> "특정 개수" 이상 메뉴를 시키되 "메인 메뉴"를 일정 이상 포함된 주문으로 단체 주문을 정의-> 주문금액의 상위 25%인 경우를 단체주문의 기준으로 정의하여 데이터를 확인 -> 정량 데이터 확인 결과, 배인에서 발생하는 단체 주문은 약 21% 2. 목표  주문 경험 다각화즉, 여러 방식의 주문 유형을 늘리도록 하자.그 중에서, 다 같이 주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만들어보자. 3. 타겟 3명 이상 한 가게에서 동시에 주문하는 유저 4. 문제정의4-1) 목표를 바탕으로 한 문제 인지메뉴를 각각 골라서 취합할 때, 대표 한 명이 전부 파악하여 선택해야 한다. 만약, 선택을 바꾸고 싶으면 대표자에게..
아티클 스터디) 배달의 민족 알뜰배달 무엇이 문제일까?
·
PM/S.C.C - Essence
c.f.) 배민에서 선택할 수 있는 배달 종류  배민원(한집배달, 알뜰배달)가게 배달비용일반적으로 더 높은 배달비 지불가게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더 저렴배달원 관리배민이 직접 관리가게가 직접 관리배달 속도알뜰배달을 제외하면 가게 배달보다 더 빠를 것이라는 기대배달 시간 변동이 존재. 예상 배달 시간 예측 제공 X고객의 기대“돈을 더 냈으니까 빨리 오겠지?”“배달원을 직접 관리하니까 다소 느리더라도 CS가 좋겠지?”  1. 현상 파악  1-1) 파이썬을 통한 안드로이드 앱에서 리뷰 데이터 수집 후 조건 부여하여 필터링 최근 1년 리뷰리뷰 내용에 “알뜰” 단어 포함되어있는 경우  1-2) 시각화 1-3) 결론위와 같은 결과를 봤을 때, 배민 알뜰 배달에 대한 고객들의 부정적 VoC가 상당한 걸로 보인다.또한..
(중요한 사고 방식) Hypothetical Think & Fact
·
PM/S.C.C - Essence
가설적인 생각과 실현된 사실에 대한 것은 구분해야 한다. 가설적 생각은 테스트를 통해 반드시 검증해야 한다.검증 없이 가설적인 생각을 주장의 근거로 사용할 수는 없다.가설적 생각은 검증할 대상이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실현된 사실도 어느정도 검증은 해야 한다.사실에 가까울 뿐이지 100% 사실을 보여준다고 장담할 수 없다.단지 현상을 데이터로 나타낼 뿐이다.  예를 들어보자. 1) 특정 영역들은 노출되는 상품들의 전환율이 높지 않은데, ‘전체 보기’ 클릭 수는 월등하게 높다.2) 해당 영역들은 모두 한 줄로 상품이 노출되는 구좌였다.3) 해당 영역들 중 카테고리 상품을 미리 꺼내서 보여주는 ‘카테고리 미리보기 구좌’들이 많았다. 위의 세 가지 현상은 사실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이때, ..
[아티클 스터디] 배달의 민족 아티클로 1-pager 작성 훈련
·
PM/S.C.C - Essence
1. 상황배달 상황 운영자가 배달 상황을 모니터링 해야 하는 상황모니터링 할 지표가 많음주문 건수, 배차대기 건수, 평균 배달 소요시간, 평균 배차 소요시간, 운행 라이더 수 , 주문 취소율, 배달 취소율, 고객 안내시간 준수율지표를 보고 경험적 판단을 주로 함실시간으로 변하는 상황과 이에 따른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반복 업무 및 업무 시간 증가2. 목표운영자가 배달 상황이 안정적이도록 유지를 하여 빠른 배달 서비스를 유지하자.3. Target배달 상황 운영자4. 표면적 문제운영자가 배달 상황이 안정적이도록 운영하는데 어떤 문제가 있을까?모니터링 지표 많음한번에 모든 지표를 판단할 수 없으므로 판단 오류가 날 가능성이 높음.지표를 판단할 명확한 기준 없음경험적 판단엔 휴먼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언제나 존재..
1-pager 프레임 만들기
·
PM/S.C.C - Essence
1-Pager 프레임 만들기 사실상 실험계획서와 같다.  1) 현상2) 목표3) Target4) 얕은 문제5) 깊은 문제6) 다른 케이스의 경우 어떻게 접근하는지7) 가설8) User Story(기능정의), 필요한 리소스9) A/B Test & Test Scheme10) Metric11) 비즈니스적 관점에서 기대되는 이득과 손해12) 관련 유관 부서
Stakeholder가 왜 "이해관계자"라는 뜻일까?
·
PM/S.C.C - Essence
Stake : "도박이나 투자에서 돈을 걸다" 라는 뜻Holder : 보유자, 소유자 도박이나 투자에서 자기 돈을 걸고 참여하면 참여한 사람 모두는 이익 또는 손실을 볼 수 있다. 다시말해 이해관계에 얽히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해 관계자"라는 뜻을 의미한다.
2024.12.27.Fri. 현상부터 실험까지 (Feat. Science)
·
PM/S.C.C - Essence
1. 과학적 연구 방법론  과학적 연구 방법론은 1) 관찰 혹은 연구를 통해서2) 현상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3) 가설에 대해 실험을 하여 입증과정을 통해 4) 입증이 됐다면 여러 논의를 통해서 법칙을 만든다. 이 내용은 순수과학(공대도 배울 지도?)에 속한 학과라면 1학년 1학기에 배우는 내용이다. 또한 저 내용을 모르더라도 직접 실험을 통해 체득하기도 한다. 2. PM의 문제 정의 및 해결 접근법 1) 현상현상을 관찰한다.이때, 가치판단은 하지 않는다.보통 데이터를 통해 관찰하게 된다. 2) 목표목표를 설정한다. PM이 속한 팀과 소속에 따라 목표는 달라질 수 있다.또한 1과 2는 독립적이라고 할 수 있다. 꼭 종속적이라 할 수 없다. 3) 얕은 문제(피상적 문제)목표를 바탕으로 현상을 바라볼 때 비로..
HardConcent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