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구사항정의서에 대한 질문들(계속 업데이트 중)
·
PM/S.C.C - 질문들
1. 어느정도 틀이 정해지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누구나 볼 수 있도록 전자문서로 공유하는 방법?-> 노션? 구글?-> 권한은 PM에게만 주고. 권한 설정도 가능해야.-> 각 항목에 각각의 참여자들이 질문할 수 있는 기능도
Ice Breaking
·
PM/S.C.C - Essence
How -> What  > 1. Why  특정 문제를 해결해야한다. 혹은 특정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어떻게 달성할 것인가?문제 해결 및 목표 달성을 위해 기획을 한다.  그렇다면 대해 왜 A라는 주제의 기획이어야 하는가? 정당성을 생각해야만 한다. 그래야 설득이 가능하다.그래야 사람들을 움직일 수 있다.  판단의 기준이 되는 가장 밑바닥의 근거가 무엇인가? 즉, 갖고 있는 소명과 신념은 무엇인가? "단 한마디의 소명. 이것이 모든 것의 판단 기준이 된다." - 문해일   "사람들은 여러분들이 무엇을 하느냐 때문에 구매하지 않는다.사람들은 그 일을 왜 하느냐를 보고 구매한다.즉, 상품에 소명이 드러나야한다. " " 사람을 고용할 때도 단지 직업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여러분들이 믿고 있는 것을 믿어..
애자일
·
PM/S.C.C - Essence
피드백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프로덕트를 만들고 개선해 나아갈 것인가? 이러한 질문에 대해 프로세스 최적화를 한 전략이 Agile이라는 개발 방법론인 것 같다. 결국 모든 일이라는게  1. 목표를 정한다.2. 달성한다.  이렇게 단순화 할 수 있는데, 여기에 "시시각각 변화하는 환경과 피드백"에 대응하기 위해서  1. 조직의 관점에선 1) 팀의 단위가 작아서 의사결정이 빨라야 한다.(한 팀을 스쿼드, 스크럼이라 부른다.)2) 일반적으로 프로덕트 오너(프로덕트 매니저)와 개발자로 나뉜다.(경우에 따라선 몇몇 직무들이 추가될 수도 있다.)3) 하나의 기능을 위해 한 번의 스프린트를 진행한다.(1~2주)4) 스프린트를 진행하고 매일 증가분을 축적한 후 체크한다.(이를 데일리 스크럼이라 한..
HardConcent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