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7.Fri. 현상부터 실험까지 (Feat. Science)
·
PM/S.C.C - Essence
1. 과학적 연구 방법론  과학적 연구 방법론은 1) 관찰 혹은 연구를 통해서2) 현상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3) 가설에 대해 실험을 하여 입증과정을 통해 4) 입증이 됐다면 여러 논의를 통해서 법칙을 만든다. 이 내용은 순수과학(공대도 배울 지도?)에 속한 학과라면 1학년 1학기에 배우는 내용이다. 또한 저 내용을 모르더라도 직접 실험을 통해 체득하기도 한다. 2. PM의 문제 정의 및 해결 접근법 1) 현상현상을 관찰한다.이때, 가치판단은 하지 않는다.보통 데이터를 통해 관찰하게 된다. 2) 목표목표를 설정한다. PM이 속한 팀과 소속에 따라 목표는 달라질 수 있다.또한 1과 2는 독립적이라고 할 수 있다. 꼭 종속적이라 할 수 없다. 3) 얕은 문제(피상적 문제)목표를 바탕으로 현상을 바라볼 때 비로..
🎄 관측 불가한 모집단에 대해 R.S이 편향됐는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
PM/S.C.C - Essence
아주 중요한 문제이다. 우리는 어차피 Random Sample만 볼 수 있다. 관찰 불가능한(또는 완전히 알 수 없는) 모집단과 비교했을 때 내가 가진 데이터가 편향되어 있다면, 이를 어떻게 알아챌 수 있을까?이 질문은 “내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가 실제 모집단을 잘 대표하지 못한다면, 어떠한 방법으로 편향을 감지할 수 있을까?”라는 문제로 해석할 수 있다. 편향을 감지하기 위한 전략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다. 1. 도메인 지식 및 외부 정보 활용도메인 전문가의 정성적 평가특정 산업, 과학 분야, 혹은 사회학적 맥락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분포나 경향이 있을 수 있다.예를 들어, 의료 데이터에서 만약 특정 질환이 전체 환자 중 10% 빈도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내 데이터셋에서..
(매우 중요)"어차피 할 사람은 한다." + "가치 제안"
·
PM/S.C.C - Essence
1. 어차피 할 사람은 한다. 아무리 UX가 어떻고 절차가 복잡하고 해도  "할 사람"은 한다. 그러면 어떻게 할 사람을 찾아내느냐가 관건일 것이다. 2. 한 가지 방법은 마케팅이다. 즉, 시도하는 고객의 전체 수를 늘려버리면 된다. 시도하는 고객의 분포가 크게 변하지만 않으면, "할 사람"의 비율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시도하는 고객의 전체 수를 늘리면 그 만큼 "할 사람"의 수를 늘릴 수 있다. 단, "할 사람"의 비율은 거의 변동 없을 것이다. 3. 두 번째 방법은 마케팅이긴한데, 타겟 마케팅이다. 즉, "할 사람"의 특징을 잘 찾아서 그 특징이 있을 법한 그룹에게 마케팅을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1) 시도하는 고객의 전체 수의 증가를 도모하면서2) "할 사람"의 비율 증가..
HardConcentrator
Keep Calm And Carry on